어깨/팔꿈치 질환
어깨 관절은 상하좌우 움직임의 폭이 가장 큰 관절입니다. 4가지 힘줄(견갑하건, 극상건, 극하건, 소원건)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이 힘줄을 통틀어 회전근 개라고 합니다. 회전근 개 파열은 성인의 어깨에 발생하는 만성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어깨 관절을 싸고 있는 회전근 개의 염증 또는 퇴화로 인해 어깨 힘줄이 파열된 상태를 말합니다.
어깨 힘줄은 혈관이 적고 위치상 물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부위로 중년의 노화와 더불어 어깨 힘줄이 약해져 있습니다. 회전근 개 자체의 문제에 기인하는 내부적인 원인은 회전근 개로 가는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힘줄을 구성하는 섬유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외부적인 원인으로는 힘줄을 둘러싼 뼈의 모양이 이상하거나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파열되는 경우입니다. 스포츠손상 등 외상으로 파열될 수 있으나 대부분 다친 경험이 없이 발견됩니다.
회전근 개 파열은 오십견과 가장 많이 혼동하는 어깨 질환으로 통증의 양상이 서로 매우 비슷합니다. 회전근 개 파열과 오십견의 구별법은 어깨 운동 범위를 체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예 팔이 올라가지 않는 오십견과 달리 회전근 개 손상은 관절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 가능한 특징이 있습니다.
오십견 | 회전근 개 파열 |
---|---|
- 팔을 스스로 올리지 못 한다 - 남이 팔을 올려줘도 올라가지 않는다 |
-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팔을 올릴 수 있다 |
일반적으로 회전근 개 부분 파열은 일차적으로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회전근 개의 기능회복을 위해 관절운동 및 어깨 주의 근육의 강화운동과 물리치료, 주사치료, 약물치료 등이 있습니다. 부분 파열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에 통증이 호전되어도 파열된 부분은 대부분 남게 됩니다. 추후 재발이나 파열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심한 노동이나 운동을 피하고 특히 낙상을 조심해야 합니다.
약물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운동치료 등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를 복합적으로 함께 시행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소염주사, 블록주사, 통점주사 등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운동으로 통증경감 및 운동범위를 회복시켜줍니다. 무중력상태에서 로프를 이용해 특정 부위의 근육을 움직여 관절과 근육을 동시에 강화시키는 슬링 운동치료가 효과적 입니다. 체외충격파 치료도 통증경감 효과를 볼 수 있고, 파열이 경미한 경우에 치료가 가능합니다.
경미한 파열로 비수술적 치료가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파열된 회전근 개를 봉합하는 방법으로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관절경적봉합술을 시행합니다. 파열된 후 방치해 너무 시간이 오래되어 회전근 개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어깨 인공관절 수술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